목표
데이터 분석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?
GA 용어 익히기
GA 보는 방법
데이터 분석 단계
가설 수립 → 집행/개선(실험) → 측정 (클릭율, 구매전환율 등)→ 분석
if 분석에서 가설이 맞지 않으면 다시 가설 수립(변경) → 집행/개선 → 측정→ 분석
가설이 맞을 때까지 단계 반복
측정할 때 분석환경 구성해야 함 → 분석 (기초 보고서)
측정, 분석 통해 삼색 보고서 만들어 봄
GA, 루커 스튜디오
GA는 환경에 맞게 수집
온라인 환경에서는 고객이 눈에 보이지 않음.
GA는 개선을 시키기 위한 의사결정 도구
🐰GA 용어
도메인 : 인터넷 상 컴퓨터 주소
랜딩페이지 : 광고 클릭했을 때 연결되는 페이지(주로 쇼핑몰 메인, 상세페이지로 연결됨)
파라미터 : 웹사이트 주소 뒤에 붙는 매개변수로 이를 활용하여 세부적 랜딩페이지 타겟팅
UTM 코드 : GA에서 활용되며,GA에서 정의한 규칙에 따라 방문자를 구별해서 확인
UTM 코드 예시
https://fastcampus.co.kr/category_online_marketing?**](https://fastcampus.co.kr/category_online_marketing?)
utm_medium=cpc& (클릭과금,주로 검색광고)
utm_campaign=hq%5E210101%5E자상호마케팅 (21년부터 검색광고 돌림)
광고페이지에 UTM 넣어야 방문자 유입 경로 추적가능함.
이벤트 : 사용자의 유의미한 행동
유저가 메인페이지에 방문함 (page View , 이벤트 발동)
유저가 상세페이지에 방문함 (page View, 이벤트 발동)
세션 : 방문
참여세션 : 사용자와 유의미한 상호작용 한 세션
사용자 A - 사이트 접속, 1초만에 종료 ⇒ 세션 = 1, 참여 세션 = 0
사용자 B - 사이트 접속, 꾸준히 서비스 이용 ⇒ 세션 = 1, 참여 세션 = 1
유의미한 상호작용(참여)로 보는 것
참여세션 예시
- 10초 이상 머물렀을 경우
- 특정 이벤트(클릭, 스크롤, 드래그 등)
- PV 수가 2회 이상인 경우
세션 시간
마지막 히트 전까지 기록된 시간
세션시간이 길다 = 고객이 고민하는 시간이 길다.
데이터분석은 개선의 시작이다.
개선하기 위해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
1.서비스 목표 설정하기
서비스 개선 ⇒ 서비스 단계별로 사용자 수가 감소되는 것을 막는 일
2.문제페이지 발견하기
쪼개서 문제를 정의해보기
ex) 상세페이지 방문 (80) → 장바구니 담기 (5)
사용자수가 급감하는 부분에서 문제 정의해보기
기간, 목적, 수집, 분석, 행동으로 내용 정리해서 데이터 분석해보기
3.기능과 레이아웃 검증 및 최적화
4.콘텐츠 세부 UI 개선
뷰저블로 히트맵 보고 고객 관심 확인 , 고객 관심이 높은 부분 상단에 위치시켜서 최적화함.
5.꾸준히 개선 및 효과 추적
개선한 기능 및 콘텐츠 추적하고 수집
GA 보고서
획득 : 방문자가 어떤 경로를 통해 방문했나? ex) 검색, 구글, 카카오, 네이버 등
추천 : 제 3자의 사이트에서 링크 클릭해서 들어온 것
paid search (검색광고) :
이메일 : 뉴스레터, 메일링
기기=측정기준 = dimension
숫자로 표현하는 데이터 = 측정 항목 = metric
차원이 1개면 1차원 보고서
차원이 2개면 2차원 보고서
방문페이지 + 쿼리 문자열보다 페이지 경로 및 화면 클래스가 좀 더 구체적으로 볼 수 있음.
'마케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디지털마케터] 4주차 GA 3,4 (0) | 2025.01.08 |
---|---|
[디지털 마케터]4주차 GA4 2번째 시간 (1) | 2025.01.06 |
[디지털 마케터] 3주차 AI 활용하기 3 (6) | 2025.01.02 |
[디지털 마케터] 3주차 AI 활용하기 (2) | 2024.12.30 |
[디지털 마케터] 2주차 3일 - 노션 사용법, 포트폴리오 작성 방법 (0) | 2024.12.26 |